|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1 초 | 256 MB | 2023 | 867 | 681 | 44.597% |
문제
마라토너라면 국적과 나이를 불문하고 누구나 참가하고 싶어하는 백준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 42.195km를 달리는 이 마라톤은 모두가 참가하고 싶어했던 만큼 매년 모두가 완주해왔다. 단, 한 명만 빼고!
모두가 참가하고 싶어서 안달인데 이런 백준 마라톤 대회에 참가해 놓고 완주하지 못한 배부른 참가자 한 명은 누굴까?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1 초 | 256 MB | 2023 | 867 | 681 | 44.597% |
마라토너라면 국적과 나이를 불문하고 누구나 참가하고 싶어하는 백준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 42.195km를 달리는 이 마라톤은 모두가 참가하고 싶어했던 만큼 매년 모두가 완주해왔다. 단, 한 명만 빼고!
모두가 참가하고 싶어서 안달인데 이런 백준 마라톤 대회에 참가해 놓고 완주하지 못한 배부른 참가자 한 명은 누굴까?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2 초 (추가 시간 없음) | 128 MB | 1680 | 1055 | 788 | 63.446% |
정우는 소문난 걸그룹 덕후이다. 정우의 친구 준석이도 걸그룹을 좋아하지만 이름을 잘 외우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정우는 친구를 위해 걸그룹 개인과 팀의 이름을 검색하여 외우게 하는 퀴즈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한다.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1 초 | 256 MB | 788 | 388 | 358 | 50.210% |
다들 문제 제목을 보고 요즘 가장 핫한 영화를 생각했겠지만 이 이야기는 LUL(League Us Legends) 게임에서 아이언(Iron) 티어에 있는 형동이의 슬픈 이야기이다. LUL에서 티어는 게임 실력을 판가름할 수 있는 지표이다. 그중 아이언 티어는 가장 낮은 단계에 위치해 있다. 친구인 강엽이와 건홍이에게 “Ironman”이라며 게임을 못한다고 놀림당하던 형동이는 꼭 아이언 티어에서 벗어나겠다고 결심했다. 하지만 형동이는 자신의 실력으로 절대 아이언(Iron) 티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다. LUL은 두 명의 플레이어가 같이 팀이 되어 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자신이 못해도 게임에서 이길 수 있고 자신이 잘해도 게임은 질 수 있다. 형동이는 게임은 못하지만 머리가 매우 똑똑하여 LUL 게임을 해킹하여서 몇몇 플레이어와 같이 게임을 하게 되면 게임의 승패가 어떻게 되는지 알게 되었다. 하지만 해킹을 통하여 알아내지 못한 플레이어와 같이 게임을 하는 경우 형동이가 매우 못하기 때문에 같은 팀원이 아무리 잘해도 반드시 진다.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1 초 | 256 MB | 1389 | 853 | 679 | 63.045% |
소희는 공개키와 개인키 한 쌍으로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소희는 공개키만을 이용하는 암호화 체계를 개발했다. 이를 “철벽 보안 알고리즘”이라고 부르기로 했다.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한 단어는 1~10개의 대문자(A-Z)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이다. 한 문장은 공백으로 구분된 단어들로 이루어졌다.
출처: [백준] 1302번 베스트셀러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2 초 | 128 MB | 8128 | 3653 | 2999 | 45.433% |
김형택은 탑문고의 직원이다. 김형택은 계산대에서 계산을 하는 직원이다. 김형택은 그날 근무가 끝난 후에, 오늘 판매한 책의 제목을 보면서 가장 많이 팔린 책의 제목을 칠판에 써놓는 일도 같이 하고 있다.
오늘 하루 동안 팔린 책의 제목이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 가장 많이 팔린 책의 제목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처: [백준] 2776번 암기왕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2 초 | 256 MB | 10889 | 3396 | 1943 | 27.981% |
연종이는 엄청난 기억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하루 동안 본 정수들을 모두 기억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믿을 수 없는 동규는 그의 기억력을 시험해 보기로 한다. 동규는 연종을 따라 다니며, 연종이 하루 동안 본 정수들을 모두 ‘수첩1’에 적어 놓았다. 그것을 바탕으로 그가 진짜 암기왕인지 알아보기 위해, 동규는 연종에게 M개의 질문을 던졌다. 질문의 내용은 “X라는 정수를 오늘 본 적이 있는가?” 이다. 연종은 막힘없이 모두 대답을 했고, 동규는 연종이 봤다고 주장하는 수 들을 ‘수첩2’에 적어 두었다. 집에 돌아온 동규는 답이 맞는지 확인하려 하지만, 연종을 따라다니느라 너무 힘들어서 여러분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동규를 도와주기 위해 ‘수첩2’에 적혀있는 순서대로, 각각의 수에 대하여, ‘수첩1’에 있으면 1을, 없으면 0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2 초 | 256 MB | 4426 | 2319 | 1763 | 53.295% |
자연수를 원소로 갖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와 B가 있다. 이때, 두 집합의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 (A-B)와 (B-A)의 합집합을 A와 B의 대칭 차집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A = { 1, 2, 4 } 이고, B = { 2, 3, 4, 5, 6 } 라고 할 때, A-B = { 1 } 이고, B-A = { 3, 5, 6 } 이므로,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1 + 3 = 4개이다.
출처: [백준] 13414번 수강신청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1 초 | 256 MB | 6098 | 1293 | 852 | 20.363% |
국민대학교에서는 매 학기 시작 전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수강신청을 한다. 매 수강신청마다 아주 많은 학생들이 몰려 서버에 많은 부하가 가기 때문에, 국민대학교에서는 수강신청 부하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새로운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5 초 | 256 MB | 3192 | 2207 | 1783 | 70.782% |
2019 HEPC - MAVEN League의 “비밀번호 만들기“와 같은 방식으로 비밀번호를 만든 경민이는 한 가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비밀번호가 랜덤으로 만들어져서 기억을 못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경민이는 메모장에 사이트의 주소와 비밀번호를 저장해두기로 했다. 하지만 컴맹인 경민이는 메모장에서 찾기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고 직접 눈으로 사이트의 주소와 비밀번호를 찾았다. 메모장에 저장된 사이트의 수가 늘어나면서 경민이는 비밀번호를 찾는 일에 시간을 너무 많이 쓰게 되었다. 이를 딱하게 여긴 문석이는 경민이를 위해 메모장에서 비밀번호를 찾는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결심하였다! 문석이를 도와 경민이의 메모장에서 비밀번호를 찾아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출처: [백준] 5568번 카드 놓기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 1 초 | 256 MB | 2813 | 1519 | 1197 | 53.082% |
상근이는 카드 n(4 ≤ n ≤ 10)장을 바닥에 나란히 놓고 놀고있다. 각 카드에는 1이상 99이하의 정수가 적혀져 있다. 상근이는 이 카드 중에서 k(2 ≤ k ≤ 4)장을 선택하고, 가로로 나란히 정수를 만들기로 했다. 상근이가 만들 수 있는 정수는 모두 몇 가지일까?
예를 들어, 카드가 5장 있고, 카드에 쓰여 있는 수가 1, 2, 3, 13, 21라고 하자. 여기서 3장을 선택해서 정수를 만들려고 한다. 2, 1, 13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정수 2113을 만들 수 있다. 또, 21, 1, 3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2113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한 정수를 만드는 조합이 여러 가지 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