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5568번 카드 놓기

[백준] 5568번 카드 놓기

출처: [백준] 5568번 카드 놓기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256 MB 2813 1519 1197 53.082%

문제

상근이는 카드 n(4 ≤ n ≤ 10)장을 바닥에 나란히 놓고 놀고있다. 각 카드에는 1이상 99이하의 정수가 적혀져 있다. 상근이는 이 카드 중에서 k(2 ≤ k ≤ 4)장을 선택하고, 가로로 나란히 정수를 만들기로 했다. 상근이가 만들 수 있는 정수는 모두 몇 가지일까?

예를 들어, 카드가 5장 있고, 카드에 쓰여 있는 수가 1, 2, 3, 13, 21라고 하자. 여기서 3장을 선택해서 정수를 만들려고 한다. 2, 1, 13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정수 2113을 만들 수 있다. 또, 21, 1, 3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2113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한 정수를 만드는 조합이 여러 가지 일 수 있다.

n장의 카드에 적힌 숫자가 주어졌을 때, 그 중에서 k개를 선택해서 만들 수 있는 정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둘째 줄에 k가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n개 줄에는 카드에 적혀있는 수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만들 수 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2
3
4
5
6
4
2
1
2
12
1

예제 출력 1

1
7

예제 입력 2

1
2
3
4
5
6
7
8
6
3
72
2
12
7
2
1

예제 출력 2

1
68

힌트

예제 1의 경우 상근이는 11, 12, 21, 112, 121, 122, 212를 만들 수 있다.


출처

img


알고리즘 분류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import sys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K = int(input())

card_list = []
for _ in range(N):
card_list.append(input().rstrip())

result = []
for x in permutations(card_list, K):
result.append(''.join(x))

result = list(set(result))
print(len(result))

[백준] 1620번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백준] 1620번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출처: [백준] 1620번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2 초 256 MB 23782 7584 5382 31.946%

문제

img

안녕? 내 이름은 이다솜. 나의 꿈은 포켓몬 마스터야. 일단 포켓몬 마스터가 되기 위해선 포켓몬을 한 마리 잡아야겠지? 근처 숲으로 가야겠어.

(뚜벅 뚜벅)

얏! 꼬렛이다. 꼬렛? 귀여운데, 나의 첫 포켓몬으로 딱 어울린데? 내가 잡고 말겠어. 가라! 몬스터볼~

(펑!) 헐랭… 왜 안 잡히지?ㅜㅜ 몬스터 볼만 던지면 되는 게 아닌가…ㅜㅠ

(터벅터벅)

어? 누구지?

img

오박사 : 나는 태초마을의 포켓몬 박사 오민식 박사라네. 다솜아, 포켓몬을 잡을 때는, 일단 상대 포켓몬의 체력을 적당히 바닥으로 만들어놓고 몬스터 볼을 던져야 한단다. 자, 내 포켓몬 이상해꽃으로 한번 잡아보렴. 포켓몬의 기술을 쓰는 것을 보고 포켓몬을 줄지 안줄지 결정을 하겠네. 자 한번 해보아라. 다솜아.

이다솜 : 이상해꽃이라…음.. 꽃이니깐 왠지 햇빛을 받아서 공격을 할 것 같은데… 음… 이상해꽃! 햇빛공격!!!

(꼬렛이 이상해꽃에게 공격을 받아 체력이 25 감소했다.)
가라! 몬스터 볼!!!
(꼬렛을 잡았습니다.)
야호! 신난다. 꼬렛을 잡았다.

오박사 : 오우!! 방금 쓴 공격은 솔라빔이라고 하네.. 어떻게 공격을 한 건가? 솔라빔이란 공격에 대해서 공부를 한 건가?

이다솜 : 꽃이니깐 왠지 햇빛을 제대로 받으면 광합성을 해서 음.. 그냥 그럴 것 같아서요 ☞☜

오박사 : 다른 아이들은 넝쿨채찍이나, 나뭇잎 공격을 하는데, 다솜이는 역시 뭔가 다르구나. 그럼 나와 함께 연구소로 가자꾸나. 내가 포켓몬을 한 마리 줄 테니, 너의 꿈을 펼쳐보아라. 꿈은 이루어진단다.

이다솜 : 네! 오박사님, 고마워요.ㅜㅜ

오박사 : 가자. 나의 연구소는 너의 옆집의 아랫집이란다. 같이 가도록하자. 지금 포켓몬을 주마.

이다솜 : 네. 야호!!

img

오영식 : 어? 오박사님 얘는 누구인가요?

img

오박사 : 얘는 너의 라이벌이 될 친구 이다솜이라고 하네. 자, 포켓몬을 한 마리 골라보도록 해봐라 다솜아. 레이디퍼스트 네가 먼저 골라봐라.

이다솜 : 저는 생각해둔 포켓몬이 있어요. 피카츄 골라도 될까요?

오박사 : 그래 여기 피카츄가 한 마리 있단다. 피카츄를 가져가거라.

오영식 : 그럼 저는 이브이를 가져가겠어요. 그럼 나중에 보자 이다솜.

이다솜 : 그럼 꼬렛을 다시 잡으러 가야겠다. 영식아, 그리고 민식박사님 빠잉!

img

이다솜 : 피카츄 공격!

img

가라 몬스터 볼!

img

이다솜 : 야호! 신난다. 꼬렛을 잡았다!!!!!

이다솜 : 그럼! 일단 사천왕을 이기고 오겠어!

img

이다솜 : 여기가 사천왕과 대결하려면 가야하는 곳인가..

img

경비원 : 사천왕과 대결을 하려면, 마을의 체육관 리더를 이겨서 배지를 8개를 모아야 한다네… 배지를 모아서 오도록 하게

이다솜 : 잉ㅠㅜ… 그럼 배지부터 모아야 하는구나ㅠㅜㅠㅜ 나쁘당 그냥 좀 봐주지..

<1 년 후>

그동안의 줄거리 : 이다솜은 일단 상록 숲의 체육관 리더에게 도전을 했다. 하지만 상록숲 체육관의 리더는 실종된 상태. 따라서 회색마을부터 도전하기로 했다. 체육관의 리더를 이기면서, 로켓단을 해체시키기도 하고, 여러 가지 사건도 있었다. 결국 전설의 포켓몬도 잡고, 이제 사천왕을 이기려고 도전하기로 했다. 사천왕은 모두 가볍게 이기고, 이제 마지막 라이벌 오!영!식! 이다.

img

오영식 : 훗. 1년 전의 그 이다솜이 사천왕을 이기고 현재 포켓몬 마스터인 나에게 덤벼? 어디 한번 덤벼보시지.

이다솜 : 헐랭… 나를 우습게보네…. 한번 두고 보시지! 그럼 대결이닷!

img

img

img

img

img

img

img

img

이다솜 : 휴… 이겼다.

오영식 : 내가 지다니 분하다. ㅜㅜ

오박사 : 그럼 다솜아 이제 진정한 포켓몬 마스터가 되기 위해 도감을 완성시키도록 하여라. 일단 네가 현재 가지고 있는 포켓몬 도감에서 포켓몬의 이름을 보면 포켓몬의 번호를 말하거나, 포켓몬의 번호를 보면 포켓몬의 이름을 말하는 연습을 하도록 하여라. 나의 시험을 통과하면, 내가 새로 만든 도감을 주도록 하겠네.


입력

첫째 줄에는 도감에 수록되어 있는 포켓몬의 개수 N이랑 내가 맞춰야 하는 문제의 개수 M이 주어져. N과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인데, 자연수가 뭔지는 알지? 모르면 물어봐도 괜찮아. 나는 언제든지 질문에 답해줄 준비가 되어있어.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포켓몬의 번호가 1번인 포켓몬부터 N번에 해당하는 포켓몬까지 한 줄에 하나씩 입력으로 들어와. 포켓몬의 이름은 모두 영어로만 이루어져있고, 또, 음… 첫 글자만 대문자이고, 나머지 문자는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어. 포켓몬 이름의 최대 길이는 20이야. 그 다음 줄부터 총 M개의 줄에 내가 맞춰야하는 문제가 입력으로 들어와. 문제가 알파벳으로만 들어오면 포켓몬 번호를 말해야 하고, 숫자로만 들어오면, 포켓몬 번호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해야해. 입력으로 들어오는 숫자는 반드시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고, 입력으로 들어오는 문자는 반드시 도감에 있는 포켓몬의 이름만 주어져. 그럼 화이팅!!!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M개의 줄에 각각의 문제에 대한 답을 말해줬으면 좋겠어!!!. 입력으로 숫자가 들어왔다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포켓몬의 이름을, 문자가 들어왔으면 그 포켓몬의 이름에 해당하는 번호를 출력하면 돼. 그럼 땡큐~

img

이게 오박사님이 나에게 새로 주시려고 하는 도감이야. 너무 가지고 싶다ㅠㅜ. 꼭 만점을 받아줬으면 좋겠어!! 파이팅!!!


예제 입력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26 5
Bulbasaur
Ivysaur
Venusaur
Charmander
Charmeleon
Charizard
Squirtle
Wartortle
Blastoise
Caterpie
Metapod
Butterfree
Weedle
Kakuna
Beedrill
Pidgey
Pidgeotto
Pidgeot
Rattata
Raticate
Spearow
Fearow
Ekans
Arbok
Pikachu
Raichu
25
Raichu
3
Pidgey
Kakuna

예제 출력 1

1
2
3
4
5
Pikachu
26
Venusaur
16
14

출처


알고리즘 분류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pocket_dict = {}
pocket_dict2 = {}

for i in range(N):
pocketmon_name = input().rstrip()
pocket_dict[i + 1] = pocketmon_name
pocket_dict2[pocketmon_name] = i + 1

for i in range(M):
quiz = input().rstrip()
if quiz.isdigit(): # 숫자일 경우
print(pocket_dict[int(quiz)])
else: # 영어일 경우
print(pocket_dict2[quiz])


-------------시간초과-------------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pocket_dict = {}

for i in range(N):
pocketmon_name = input().rstrip()
pocket_dict[i + 1] = pocketmon_name

for i in range(M):
quiz = input().rstrip()
if quiz.isdigit(): # 숫자일 경우
print(pocket_dict[int(quiz)])
else: # 영어일 경우
[print(number) for number, name in pocket_dict.items() if name == quiz]


[백준] 7785번 회사에 있는 사람

[백준] 7785번 회사에 있는 사람

출처: [백준] 7785번 회사에 있는 사람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256 MB 13977 4901 3355 37.820%

문제

상근이는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 기글에서 일한다. 이 회사의 가장 큰 특징은 자유로운 출퇴근 시간이다. 따라서, 직원들은 반드시 9시부터 6시까지 회사에 있지 않아도 된다.

각 직원은 자기가 원할 때 출근할 수 있고, 아무때나 퇴근할 수 있다.

상근이는 모든 사람의 출입카드 시스템의 로그를 가지고 있다. 이 로그는 어떤 사람이 회사에 들어왔는지, 나갔는지가 기록되어져 있다. 로그가 주어졌을 때, 현재 회사에 있는 모든 사람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로그에 기록된 출입 기록의 수 n이 주어진다. (2 ≤ n ≤ 106) 다음 n개의 줄에는 출입 기록이 순서대로 주어지며, 각 사람의 이름이 주어지고 “enter”나 “leave”가 주어진다. “enter”인 경우는 출근, “leave”인 경우는 퇴근이다.

회사에는 동명이인이 없으며, 대소문자가 다른 경우에는 다른 이름이다. 사람들의 이름은 알파벳 대소문자로 구성된 5글자 이하의 문자열이다.


출력

현재 회사에 있는 사람의 이름을 사전 순의 역순으로 한 줄에 한 명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2
3
4
5
4
Baha enter
Askar enter
Baha leave
Artem enter

예제 출력 1

1
2
Askar
Artem

출처


알고리즘 분류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exist = {}

for i in range(N):
name, action = (input().split())
exist[name] = action

exist = sorted(exist.items(), reverse=True)

for i in range(len(exist)):
if exist[i][1] == 'leave':
continue
else:
print(exist[i][0])

[프로그래머스] Lv1.완주하지 못한 선수

[프로그래머스] Lv1.완주하지 못한 선수

출처: [코딩테스트 연습 완주하지 못한 선수]


문제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participant completion return
[“leo”, “kiki”, “eden”] [“eden”, “kiki”] “leo”
[“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josipa”, “filipa”, “marina”, “nikola”] “vinko”
[“mislav”, “stanko”, “mislav”, “ana”] [“stanko”, “ana”, “mislav”] “mislav”

입출력 예 1

예제 #1
“le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2
“vink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3
“mislav”는 참여자 명단에는 두 명이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한 명밖에 없기 때문에 한명은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출처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participant.sort()
completion.sort()
answer = Counter(participant) - Counter(completion)
return list(answer)[0]

# print(solution(["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josipa", "filipa", "marina", "nikola"]))

'''
collection 라이브러리 사용
일반 dict는 빼기 불가,
counter를 사용하면 key, value로 되고...카운터 객체이므로 빼기 가능
마지막 리스트로 변환 후 0번째 출력--> 탈락자는 한명이다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participant.sort()
completion.sort()
for p, c in zip(participant, completion):
if p != c:
return p
return participant[-1]


# print(solution(["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josipa", "filipa", "marina", "nikola"]))

'''
탈락자는 무조건 한명
참여자 명단의 인덱스와 완주자 명단의 인덱스 값이 다르다면,
그 때, 참여자는 완주자 명단에 없으므로, 반환
----
마지막까지 인덱스 값이 같다면, 참여자 명단 마지막 사람이 완주하지 못한 사람이다.
'''

[백준] 9375번 패션왕 신해빈

[백준] 9375번 패션왕 신해빈

출처: [백준] 9375번 패션왕 신해빈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8972 4744 4148 54.350%

문제

해빈이는 패션에 매우 민감해서 한번 입었던 옷들의 조합을 절대 다시 입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늘 해빈이가 안경, 코트, 상의, 신발을 입었다면, 다음날은 바지를 추가로 입거나 안경대신 렌즈를 착용하거나 해야한다. 해빈이가 가진 의상들이 주어졌을때 과연 해빈이는 알몸이 아닌 상태로 며칠동안 밖에 돌아다닐 수 있을까?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가 주어진다. 테스트 케이스는 최대 100이다.

  •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해빈이가 가진 의상의 수 n(0 ≤ n ≤ 30)이 주어진다.
  • 다음 n개에는 해빈이가 가진 의상의 이름과 의상의 종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같은 종류의 의상은 하나만 입을 수 있다.

모든 문자열은 1이상 20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있으며 같은 이름을 가진 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해빈이가 알몸이 아닌 상태로 의상을 입을 수 있는 경우를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1
2
3
4
5
6
7
8
9
2
3
hat headgear
sunglasses eyewear
turban headgear
3
mask face
sunglasses face
makeup face

예제 출력 1

1
2
5
3

힌트

첫 번째 테스트 케이스는 headgear에 해당하는 의상이 hat, turban이며 eyewear에 해당하는 의상이 sunglasses이므로 (hat), (turban), (sunglasses), (hat,sunglasses), (turban,sunglasses)로 총 5가지 이다.


출처


알고리즘 분류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T = int(input())

for _ in range(T):
clothes = {}
N = int(input())
for _ in range(N):
name, kind = input().split()
if kind in clothes:
clothes[kind] += 1
else:
clothes[kind] = 1

case = 1
for key in clothes.keys():
case = case * (clothes[key] + 1)
print(case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