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523번 별 찍기 - 13

[백준] 2523번 별 찍기 - 13

출처: [백준] 2523번 별 찍기 - 13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21128 14779 13815 71.252%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2×N-1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3

예제 출력 1

1
2
3
4
5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print('*' * i)
for i in reversed(range(1, N)):
print('*' * i)

[백준] 2522번 별 찍기 - 12

[백준] 2522번 별 찍기 - 12

출처: [백준] 2522번 별 찍기 - 12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11072 9348 8753 85.479%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2×N-1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3

예제 출력 1

1
2
3
4
5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print(' ' * (N - i) + '*' * i)
for i in reversed(range(1, N)):
print(' ' * (N - i) + '*' * i)

[백준] 2446번 별 찍기 - 9

[백준] 2446번 별 찍기 - 9

출처: [백준] 2446번 별 찍기 - 9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33081 18703 17182 57.652%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2×N-1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6
7
8
9
*********
*******
*****
***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eversed(range(1, N + 1)):
print(' ' * (N - i) + "*" * (2 * i - 1))

for i in range(2, N + 1):
print(' ' * (N - i) + "*" * (2 * i - 1))

[백준] 2444번 별 찍기 - 7

[백준] 2444번 별 찍기 - 7

출처: [백준] 2444번 별 찍기 - 7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18668 13189 12075 72.992%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2×N-1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6
7
8
9
    *
***
*****
*******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print(' ' * (N - i) + '*' * (2 * i - 1))

for i in reversed(range(1, N)):
print(' ' * (N - i) + '*' * (2 * i - 1))

[백준] 2445번 별 찍기 - 8

[백준] 2445번 별 찍기 - 8

출처: [백준] 2445번 별 찍기 - 8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18262 13350 12206 73.846%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2×N-1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6
7
8
9
*        *
** **
*** ***
**** ****
**********
**** ****
***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eversed(range(1, N)):
print('*' * (N - i) + ' ' * (2 * i) + '*' * (N - i))

for i in range(N):
print('*' * (N - i) + ' ' * (2 * i) + '*' * (N - i))

[백준] 2443번 별 찍기 - 6

[백준] 2443번 별 찍기 - 6

출처: [백준] 2443번 별 찍기 - 6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16915 12444 11585 75.174%

문제

첫째 줄에는 별 2×N-1개, 둘째 줄에는 별 2×N-3개, …, N번째 줄에는 별 1개를 찍는 문제

별은 가운데를 기준으로 대칭이어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eversed(range(1, N + 1)):
print(' ' * (N - i) + '*' * (2 * i - 1))

[백준] 2442번 별 찍기 - 5

[백준] 2442번 별 찍기 - 5

출처: [백준] 2442번 별 찍기 - 5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31653 17941 16137 57.227%

문제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3개, …, N번째 줄에는 별 2×N-1개를 찍는 문제

별은 가운데를 기준으로 대칭이어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print(' ' * (N - i) + '*' * (2 * i - 1))

[백준] 10844번 쉬운 계단 수

[백준] 10844번 쉬운 계단 수

출처: [백준] 10844번 쉬운 계단 수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256 MB 77392 23572 16910 28.505%

문제

45656이란 수를 보자.

이 수는 인접한 모든 자리수의 차이가 1이 난다. 이런 수를 계단 수라고 한다.

세준이는 수의 길이가 N인 계단 수가 몇 개 있는지 궁금해졌다.

N이 주어질 때, 길이가 N인 계단 수가 총 몇 개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0으로 시작하는 수는 없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정답을 1,000,000,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1

예제 출력 1

1
9

예제 입력 2

1
2

예제 출력 2

1
17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p = [[1 for _ in range(10)]]
for i in range(99):
dp.append([0 for _ in range(10)])

for i in range(99):
for j in range(10):
if 1 <= j < 9:
dp[i + 1][j] = dp[i][j - 1] + dp[i][j + 1]
elif j >= 9:
dp[i + 1][j] = dp[i][j - 1]
elif j <= 0:
dp[i + 1][j] = dp[i][j + 1]
# print(dp)
n = int(input())
print((sum(dp[n - 1]) - dp[n - 1][0]) % 1000000000)
[백준] 1436번 영화감독 숌

[백준] 1436번 영화감독 숌

출처: [백준] 1436번 영화감독 숌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2 초 128 MB 31210 13703 11247 44.456%

문제

666은 종말을 나타내는 숫자라고 한다. 따라서, 많은 블록버스터 영화에서는 666이 들어간 제목을 많이 사용한다. 영화감독 숌은 세상의 종말 이라는 시리즈 영화의 감독이다. 조지 루카스는 스타워즈를 만들 때, 스타워즈 1, 스타워즈 2, 스타워즈 3, 스타워즈 4, 스타워즈 5, 스타워즈 6과 같이 이름을 지었고, 피터 잭슨은 반지의 제왕을 만들 때, 반지의 제왕 1, 반지의 제왕 2, 반지의 제왕 3과 같이 영화 제목을 지었다.

하지만 숌은 자신이 조지 루카스와 피터 잭슨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영화 제목을 좀 다르게 만들기로 했다.

종말의 숫자란 어떤 수에 6이 적어도 3개이상 연속으로 들어가는 수를 말한다. 제일 작은 종말의 숫자는 666이고, 그 다음으로 큰 수는 1666, 2666, 3666, …. 과 같다.

따라서, 숌은 첫 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666, 두 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1666 이렇게 이름을 지을 것이다. 일반화해서 생각하면, N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N번째로 작은 종말의 숫자) 와 같다.

숌이 만든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숫자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숌은 이 시리즈를 항상 차례대로 만들고, 다른 영화는 만들지 않는다.


입력

첫째 줄에 숫자 N이 주어진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2

예제 출력 1

1
1666

힌트


출처

  • 문제를 번역한 사람: baekjoon
  • 어색한 표현을 찾은 사람: mwy3055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 666,1666,2666,3666,4666,5666,6660,6661…….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title = 666
cnt = 0
while True:
if '666' in str(title):
cnt += 1
if cnt == N:
print(title)
break
title += 1

[백준] 2447번 별 찍기-10

[백준] 2447번 별 찍기-10

출처: [백준] 2447번 별 찍기-10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2 초 128 MB 37375 17060 13949 46.314%

문제

재귀적인 패턴으로 별을 찍어 보자. N이 3의 거듭제곱(3, 9, 27, …)이라고 할 때, 크기 N의 패턴은 N×N 정사각형 모양이다.

크기 3의 패턴은 가운데에 공백이 있고, 가운데를 제외한 모든 칸에 별이 하나씩 있는 패턴이다.

1
2
3
***
* *
***

N이 3보다 클 경우, 크기 N의 패턴은 공백으로 채워진 가운데의 (N/3)×(N/3) 정사각형을 크기 N/3의 패턴으로 둘러싼 형태이다. 예를 들어 크기 27의 패턴은 예제 출력 1과 같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3의 거듭제곱이다. 즉 어떤 정수 k에 대해 N=3k이며, 이때 1 ≤ k < 8이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27

예제 출력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힌트


출처

  • 문제를 만든 사람: baekjoon
  • 문제를 다시 작성한 사람: jh05013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 1, 4, 7, 10, 13, 16, 19, 22, 25 ….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인 부분이 공백
  • 전체를 봤을때, 3줄씩 한 세트라고 하면, 3, 4, 5, 12, 13, 14, 21, 22, 23…. (n//3)%3==1인 부분이 공백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arr = [['*'] * N for _ in range(N)] # output array 생성

temp = N
cnt = 0
while temp != 1: # 입력받은 n이 3의 몇승?
temp /= 3
cnt += 1


'''
1, 4, 7, 10, 13, 16, 19, 22, 25 ....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인 부분이 공백
전체를 봤을때, 3줄씩 한 세트라고 하면, 3, 4, 5, 12, 13, 14, 21, 22, 23.... (n//3)%3==1인 부분이 공백
'''
for i in range(cnt):
idx = []
for j in range(N):
if (j // 3 ** i) % 3 == 1:
idx.append(j)
for row in idx:
for col in idx:
arr[row][col] = ' '

print('\n'.join([''.join([str(i) for i in row]) for row in ar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