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혹은 1)가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줄에는 총 단지수를 출력하시오. 그리고 각 단지내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시오.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 특히,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한 배추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 다른 배추가 위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해있다고 간주한다)
한나가 배추를 재배하는 땅은 고르지 못해서 배추를 군데군데 심어놓았다. 배추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만 있으면 되므로 서로 인접해있는 배추들이 몇 군데에 퍼져있는지 조사하면 총 몇 마리의 지렁이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추밭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최소 5마리의 배추흰지렁이가 필요하다.
(0은 배추가 심어져 있지 않은 땅이고, 1은 배추가 심어져 있는 땅을 나타낸다.)
1
1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1
1
0
0
0
1
1
1
0
0
0
0
1
0
0
1
1
1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는 배추를 심은 배추밭의 가로길이 M(1 ≤ M ≤ 50)과 세로길이 N(1 ≤ N ≤ 50), 그리고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 K(1 ≤ K ≤ 25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K줄에는 배추의 위치 X(0 ≤ X ≤ M-1), Y(0 ≤ Y ≤ N-1)가 주어진다.
# 이동할 네 방향 정의 (상, 하, 좌, 우) dx = [-1, 1, 0, 0] dy = [0, 0, -1, 1]
defdfs(x, y): ground[x][y] = 0# 해당 지점은 확인
for i in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nx < 0or ny < 0or nx >= N or ny >= M: continue else: if ground[nx][ny] == 1: dfs(nx, ny)
T = int(input()) for _ inrange(T): M, N, K = map(int, input().split()) ground = [[0for _ inrange(M)] for _ inrange(N)] count = 0 for _ inrange(K): X, Y = map(int, input().split()) ground[Y][X] = 1
for i inrange(N): for j inrange(M): if ground[i][j] == 1: dfs(i, j) count += 1 print(count)
최근에 개발된 지능형 기차가 1번역(출발역)부터 4번역(종착역)까지 4개의 정차역이 있는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이 기차에는 타거나 내리는 사람 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출발역에서 종착역까지 가는 도중 기차 안에 사람이 가장 많을 때의 사람 수를 계산하려고 한다. 단, 이 기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질서 의식이 투철하여, 역에서 기차에 탈 때, 내릴 사람이 모두 내린 후에 기차에 탄다고 가정한다.
내린 사람 수
탄 사람 수
1번역(출발역)
0
32
2번역
3
13
3번역
28
25
4번역(종착역)
39
0
예를 들어, 위와 같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기차 안에 사람이 가장 많은 때는 2번역에서 3명의 사람이 기차에서 내리고, 13명의 사람이 기차에 탔을 때로, 총 42명의 사람이 기차 안에 있다.
이 기차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서 운행된다고 가정한다.
기차는 역 번호 순서대로 운행한다.
출발역에서 내린 사람 수와 종착역에서 탄 사람 수는 0이다.
각 역에서 현재 기차에 있는 사람보다 더 많은 사람이 내리는 경우는 없다.
기차의 정원은 최대 10,000명이고, 정원을 초과하여 타는 경우는 없다.
4개의 역에 대해 기차에서 내린 사람 수와 탄 사람 수가 주어졌을 때, 기차에 사람이 가장 많을 때의 사람 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각 역에서 내린 사람 수와 탄 사람 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첫째 줄부터 넷째 줄까지 역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우리나라 고유의 윷놀이는 네 개의 윷짝을 던져서 배(0)와 등(1)이 나오는 숫자를 세어 도, 개, 걸, 윷, 모를 결정한다. 네 개 윷짝을 던져서 나온 각 윷짝의 배 혹은 등 정보가 주어질 때 도(배 한 개, 등 세 개), 개(배 두 개, 등 두 개), 걸(배 세 개, 등 한 개), 윷(배 네 개), 모(등 네 개) 중 어떤 것인지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째 줄부터 셋째 줄까지 각 줄에 각각 한 번 던진 윷짝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네 개의 정수(0 또는 1)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셋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씩 결과를 도는 A, 개는 B, 걸은 C, 윷은 D, 모는 E로 출력한다.
컴퓨터를 제조하는 회사인 KOI 전자에서는 제조하는 컴퓨터마다 6자리의 고유번호를 매긴다. 고유번호의 처음 5자리에는 00000부터 99999까지의 수 중 하나가 주어지며 6번째 자리에는 검증수가 들어간다. 검증수는 고유번호의 처음 5자리에 들어가는 5개의 숫자를 각각 제곱한 수의 합을 10으로 나눈 나머지이다.
예를 들어 고유번호의 처음 5자리의 숫자들이 04256이면, 각 숫자를 제곱한 수들의 합 0+16+4+25+36 = 81 을 10으로 나눈 나머지인 1이 검증수이다.
이번 가을학기에 ‘문제 해결’ 강의를 신청한 학생들은 텀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 프로젝트 팀원 수에는 제한이 없다. 심지어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팀의 팀원인 경우와 같이 한 팀만 있을 수도 있다.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기 위해, 모든 학생들은 프로젝트를 함께하고 싶은 학생을 선택해야 한다. (단, 단 한 명만 선택할 수 있다.) 혼자 하고 싶어하는 학생은 자기 자신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학생들이(s1, s2, …, sr)이라 할 때, r=1이고 s1이 s1을 선택하는 경우나, s1이 s2를 선택하고, s2가 s3를 선택하고,…, sr-1이 sr을 선택하고, sr이 s1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한 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반에 7명의 학생이 있다고 하자. 학생들을 1번부터 7번으로 표현할 때, 선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3
1
3
7
3
4
6
위의 결과를 통해 (3)과 (4, 7, 6)이 팀을 이룰 수 있다. 1, 2, 5는 어느 팀에도 속하지 않는다.
주어진 선택의 결과를 보고 어느 프로젝트 팀에도 속하지 않는 학생들의 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 줄에는 학생의 수가 정수 n (2 ≤ n ≤ 100,000)으로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둘째 줄에는 선택된 학생들의 번호가 주어진다. (모든 학생들은 1부터 n까지 번호가 부여된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한 줄에 출력하고, 각 줄에는 프로젝트 팀에 속하지 못한 학생들의 수를 나타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