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444번 별 찍기 - 7

[백준] 2444번 별 찍기 - 7

출처: [백준] 2444번 별 찍기 - 7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18668 13189 12075 72.992%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2×N-1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6
7
8
9
    *
***
*****
*******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print(' ' * (N - i) + '*' * (2 * i - 1))

for i in reversed(range(1, N)):
print(' ' * (N - i) + '*' * (2 * i - 1))

[백준] 2445번 별 찍기 - 8

[백준] 2445번 별 찍기 - 8

출처: [백준] 2445번 별 찍기 - 8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18262 13350 12206 73.846%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2×N-1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6
7
8
9
*        *
** **
*** ***
**** ****
**********
**** ****
***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eversed(range(1, N)):
print('*' * (N - i) + ' ' * (2 * i) + '*' * (N - i))

for i in range(N):
print('*' * (N - i) + ' ' * (2 * i) + '*' * (N - i))

[백준] 2443번 별 찍기 - 6

[백준] 2443번 별 찍기 - 6

출처: [백준] 2443번 별 찍기 - 6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16915 12444 11585 75.174%

문제

첫째 줄에는 별 2×N-1개, 둘째 줄에는 별 2×N-3개, …, N번째 줄에는 별 1개를 찍는 문제

별은 가운데를 기준으로 대칭이어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eversed(range(1, N + 1)):
print(' ' * (N - i) + '*' * (2 * i - 1))

[백준] 2442번 별 찍기 - 5

[백준] 2442번 별 찍기 - 5

출처: [백준] 2442번 별 찍기 - 5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
1 초 128 MB 31653 17941 16137 57.227%

문제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3개, …, N번째 줄에는 별 2×N-1개를 찍는 문제

별은 가운데를 기준으로 대칭이어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5

예제 출력 1

1
2
3
4
5
    *
***
*****
*******
*********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시간 제한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print(' ' * (N - i) + '*' * (2 * i - 1))

[백준] 2108번 통계학

[백준] 2108번 통계학

출처: [백준] 2108번 통계학


문제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1.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2.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3.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4.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어진다. 입력되는 정수의 절댓값은 4,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는 산술평균을 출력한다.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중앙값을 출력한다.

셋째 줄에는 최빈값을 출력한다. 여러 개 있을 때에는 최빈값 중 두 번째로 작은 값을 출력한다.

넷째 줄에는 범위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2
3
4
5
6
5
1
3
8
-2
2

예제 출력 1

1
2
3
4
2
2
1
10

예제 입력 2

1
2
1
4000

예제 출력 2

1
2
3
4
4000
4000
4000
0

예제 입력 3

1
2
3
4
5
6
5
-1
-2
-3
-1
-2

예제 출력 3

1
2
3
4
-2
-2
-1
2

힌트


출처


알고리즘 분류


풀이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num_list = sorted([int(input()) for _ in range(N)])

# for _ in range(N):
# num_list.append(int(input()))
#
# num_list.sort()

# 산술평균
print(round(sum(num_list) / N))
# 중앙값
print(num_list[N // 2])

# 최빈값
mode_num = Counter(num_list).most_common()
if len(mode_num) > 1:
if mode_num[0][1] == mode_num[1][1]:
print(mode_num[1][0])
else:
print(mode_num[0][0])
else:
print(mode_num[0][0])

# 범위
print(num_list[-1] - num_list[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