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터널 내에서의 차선 변경을 법률로 금하고 있다. 조금만 관찰력이 있는 학생이라면 터널 내부에서는 차선이 파선이 아닌 실선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이는 차선을 변경할 수 없음을 말하는 것이고, 따라서 터널 내부에서의 추월은 불가능하다.
소문난 명콤비 경찰 대근이와 영식이가 추월하는 차량을 잡기 위해 한 터널에 투입되었다. 대근이는 터널의 입구에, 영식이는 터널의 출구에 각각 잠복하고, 대근이는 차가 터널에 들어가는 순서대로, 영식이는 차가 터널에서 나오는 순서대로 각각 차량 번호를 적어 두었다.
N개의 차량이 지나간 후, 대근이와 영식이는 자신들이 적어 둔 차량 번호의 목록을 보고, 터널 내부에서 반드시 추월을 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차들이 몇 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근이와 영식이를 도와 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입력
입력은 총 2N+1개의 줄로 이루어져 있다. 첫 줄에는 차의 대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대근이가 적은 차량 번호 목록이 주어지고, N+2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영식이가 적은 차량 번호 목록이 주어진다. 각 차량 번호는 6글자 이상 8글자 이하의 문자열로, 영어 대문자(‘A’-‘Z’)와 숫자(‘0’-‘9’)로만 이루어져 있다.
다들 문제 제목을 보고 요즘 가장 핫한 영화를 생각했겠지만 이 이야기는 LUL(League Us Legends) 게임에서 아이언(Iron) 티어에 있는 형동이의 슬픈 이야기이다. LUL에서 티어는 게임 실력을 판가름할 수 있는 지표이다. 그중 아이언 티어는 가장 낮은 단계에 위치해 있다. 친구인 강엽이와 건홍이에게 “Ironman”이라며 게임을 못한다고 놀림당하던 형동이는 꼭 아이언 티어에서 벗어나겠다고 결심했다. 하지만 형동이는 자신의 실력으로 절대 아이언(Iron) 티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다. LUL은 두 명의 플레이어가 같이 팀이 되어 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자신이 못해도 게임에서 이길 수 있고 자신이 잘해도 게임은 질 수 있다. 형동이는 게임은 못하지만 머리가 매우 똑똑하여 LUL 게임을 해킹하여서 몇몇 플레이어와 같이 게임을 하게 되면 게임의 승패가 어떻게 되는지 알게 되었다. 하지만 해킹을 통하여 알아내지 못한 플레이어와 같이 게임을 하는 경우 형동이가 매우 못하기 때문에 같은 팀원이 아무리 잘해도 반드시 진다.
위와 같은 경우에서 “JIHOON”과 같이 게임을 하는 경우 20점(W = 20)을 획득하는 반면에 “GANGYEOP”이나 “MINSUNG”과 같이 게임 하는 경우 경우 15점(L = 15)을 잃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해킹을 통해 알지 내지 못한 플레이어를 만나게 되는 경우 형동이가 매우 못하여 지기 때문에 15점을 잃게 된다. (단, 계속 지더라도 점수는 0점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형동이가 N번에 게임을 통해서 아이언 티어에서 탈출한 경우 형동이는 “I AM NOT IRONMAN”이라고 외치지만 탈출하지 못한 경우 “I AM IRONMAN”이라고 외친다.
여기서 아이언 티어를 탈출하기 위해서 100점 (G = 100) 이상이 되어야 했다면 9번째 게임(주황색 사각형)을 하고 아이언 티어를 탈출하였기 때문에 형동이는 “I AM NOT IRONMAN”이라고 외친다. 아이언 티어에서 탈출한 경우 그 이후에 게임은 신경쓰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 탈출하기 위해서 200점(G = 200)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했을 경우 형동이는 아이언 티어를 탈출하지 못했기 때문에 “I AM IRONMAN”이라고 외치게 된다.
과연 형동이는 게임이 끝난 후 어떤 대사를 할 지 우리가 맞춰보자.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총 게임 횟수 N과 해킹을 통해 얻은 플레이어 정보의 수 P가 주어진다. (N과 P는 1,000이하의 자연수)
그리고 두 번째 줄에는 이긴 경우 획득 점수 W와 졌을 때 떨어지는 점수 L, 그리고 IRON 티어에서 벗어나기 위한 점수 G가 주어진다. (0 ≤ W, L ≤ 100, 1 ≤ G ≤ 100,000, 이 때, W, L, G는 정수)
그리고 다음 P개의 줄에는 플레이어의 이름과 무조건 이길 수 있는 경우 W, 무조건 지는 경우 L이라는 단어가 플레이어 이름과 쌍으로 나온다.
그리고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같이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의 이름이 나온다.
플레이어 이름은 반드시 대문자로 나오며 길이는 20이 넘지 않는다.
출력
0점부터 시작하였을 때 형동이가 아이언 티어에서 벗어나지 못한 경우 "I AM IRONMAN!!", 아이언 티어에서 벗어난 경우 “I AM NOT IRONMAN!!”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0 3 20 15 100 JIHOON W GANGYEOP L MINSUNG L JIHOON MYEONGKI GANGYEOP MINSUNG JIHOON JIHOON JIHOON JIHOON JIHOON MINSUNG
예제 출력 1
1
I AM NOT IRONMAN!!
예제 입력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0 3 20 15 100 JIHOON W GANGYEOP L MINSUNG L JIHOON GANGYEOP JISUP MINSUNG JIHOON JIHOON MOJI KYUNGMIN SOOHO SEOKGYE
예를 들어, “Baekjoon Online Judge”를 ROT13으로 암호화하면 “Onrxwbba Bayvar Whqtr”가 된다. ROT13으로 암호화한 내용을 원래 내용으로 바꾸려면 암호화한 문자열을 다시 ROT13하면 된다. 앞에서 암호화한 문자열 “Onrxwbba Bayvar Whqtr”에 다시 ROT13을 적용하면 “Baekjoon Online Judge”가 된다.
ROT13은 알파벳 대문자와 소문자에만 적용할 수 있다. 알파벳이 아닌 글자는 원래 글자 그대로 남아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One is 1”을 ROT13으로 암호화하면 “Bar vf 1”이 된다.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ROT13”으로 암호화한 다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 공백, 숫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진다. S의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
어떤 단어를 뒤에서부터 읽어도 똑같다면 그 단어를 팰린드롬이라고 한다. ‘radar’, ‘sees’는 팰린드롬이다.
수도 팰린드롬으로 취급할 수 있다. 수의 숫자들을 뒤에서부터 읽어도 같다면 그 수는 팰린드롬수다. 121, 12421 등은 팰린드롬수다. 123, 1231은 뒤에서부터 읽으면 다르므로 팰린드롬수가 아니다. 또한 10도 팰린드롬수가 아닌데, 앞에 무의미한 0이 올 수 있다면 010이 되어 팰린드롬수로 취급할 수도 있지만, 특별히 이번 문제에서는 무의미한 0이 앞에 올 수 없다고 하자.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마다 1 이상 99999 이하의 정수가 주어진다. 입력의 마지막 줄에는 0이 주어지며, 이 줄은 문제에 포함되지 않는다.
아직 글을 모르는 영석이가 벽에 걸린 칠판에 자석이 붙어있는 글자들을 붙이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이 장난감에 있는 글자들은 영어 대문자 ‘A’부터 ‘Z’, 영어 소문자 ‘a’부터 ‘z’, 숫자 ‘0’부터 ‘9’이다. 영석이는 칠판에 글자들을 수평으로 일렬로 붙여서 단어를 만든다. 다시 그 아래쪽에 글자들을 붙여서 또 다른 단어를 만든다. 이런 식으로 다섯 개의 단어를 만든다. 아래 그림 1은 영석이가 칠판에 붙여 만든 단어들의 예이다.
1 2 3 4 5
A A B C D D a f z z 0 9 1 2 1 a 8 E W g 6 P 5 h 3 k x
<그림 1>
한 줄의 단어는 글자들을 빈칸 없이 연속으로 나열해서 최대 15개의 글자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만들어진 다섯 개의 단어들의 글자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심심해진 영석이는 칠판에 만들어진 다섯 개의 단어를 세로로 읽으려 한다. 세로로 읽을 때, 각 단어의 첫 번째 글자들을 위에서 아래로 세로로 읽는다. 다음에 두 번째 글자들을 세로로 읽는다. 이런 식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 자리씩 이동 하면서 동일한 자리의 글자들을 세로로 읽어 나간다. 위의 그림 1의 다섯 번째 자리를 보면 두 번째 줄의 다섯 번째 자리의 글자는 없다. 이런 경우처럼 세로로 읽을 때 해당 자리의 글자가 없으면, 읽지 않고 그 다음 글자를 계속 읽는다. 그림 1의 다섯 번째 자리를 세로로 읽으면 D1gk로 읽는다.
그림 1에서 영석이가 세로로 읽은 순서대로 글자들을 공백 없이 출력하면 다음과 같다:
Aa0aPAf985Bz1EhCz2W3D1gkD6x
칠판에 붙여진 단어들이 주어질 때, 영석이가 세로로 읽은 순서대로 글자들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총 다섯줄의 입력이 주어진다. 각 줄에는 최소 1개, 최대 15개의 글자들이 빈칸 없이 연속으로 주어진다. 주어지는 글자는 영어 대문자 ‘A’부터 ‘Z’, 영어 소문자 ‘a’부터 ‘z’, 숫자 ‘0’부터 ‘9’ 중 하나이다. 각 줄의 시작과 마지막에 빈칸은 없다.
출력
영석이가 세로로 읽은 순서대로 글자들을 출력한다. 이때, 글자들을 공백 없이 연속해서 출력한다.
cur_num = N ** 2 cur_x, cur_y = 0, 0 direction = 0 while cur_num > 0: snail[cur_y][cur_x] = cur_num ny, nx = move[direction] dx = cur_x + nx dy = cur_y + ny if0 > dx or dx >= N or0 > dy or dy >= N or snail[dy][dx] != 0: # 갈 수 없는 곳만 (방문했던 곳X, 벽X) direction = (direction + 1)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