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02일 금요일 IT뉴스

1. 강남‧판교 집 필요 없다…야놀자, 원격근무제 무기한 시행

강남‧판교 집 필요 없다…야놀자, 원격근무제 무기한 시행

직방 임직원들이 자사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폴리스'에서 회의하고 있다. [사진 직방]

테크 기업들의 인재 경쟁 1라운드가 연봉 인상이었다면, 2 라운드는 오피스로 코로나19 유행이 끝나도 원격근무를 이어가겠다고 밝히는 기업들이 속속 늘고 있다.

가장 최근 이 정책을 밝힌 곳은 여가 플랫폼으로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기업)’ 반열에 오른 야놀자로 야놀자가 이렇게 오피스 개념을 바꾸고 나선 건 인재 유치 때문이며, 야놀자 측은 “상시 원격근무제는 글로벌 테크 기업으로서 도약을 위한 변화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야놀자는 올 하반기에만 연구개발 인력 300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2. ‘편견 배제’ 알고리즘으로 ‘유니콘’ 일군 인도인 창업자

‘편견 배제’ 알고리즘으로 ‘유니콘’ 일군 인도인 창업자

에잇폴드는 AI로 채용 기업과 지원자의 경력을 분석해 가장 적합한 지원자와 직무를 추천하며, 기업이 직접 서류를 받고 면접을 하지 않아도 최적의 지원자를 매칭해 추천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에잇폴드의 강점은 AI와 빅데이터 활용 자체보다 ‘편견 배제 알고리즘’에 있으며, 이 알고리즘은 인종적 편견이나 성별, 종교 등을 드러내는 단어는 물론 지원자의 출신 지역이나 학교 이름을 보여주는 정보를 배제한 채 경험과 업무성과 등으로만 데이터를 분석해 낸다. AI를 통해 진정한 ‘블라인드 채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3. ‘IT 인재’ 빨아들이는 ‘핀테크’

‘IT 인재’ 빨아들이는 ‘핀테크’

[경향신문]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할 것 없이 IT 인력 채용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는데, 희비는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인터넷은행들은 성과를 내고 있는 반면 기존 주요 은행들은 상대적으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에서는 젊고 유능한 IT 개발자들일수록 향후 진로를 생각해 시중은행 업무를 기피한다고 보며, 현재까지도 은행에서는 IT 개발보다는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업무역량을 높일 기회가 많지 않고, 순환근무를 통해 지점으로 나가는 등 다른 업무에 배치될 수도 있기 때문이고, IT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직된 조직문화에 대한 거부감도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4. 넥슨도 물린 비트코인…코인 급락에 회계상 손실 458억 기록

넥슨도 물린 비트코인…코인 급락에 회계상 손실 458억 기록

넥슨 본사인 일본 법인이 지난 4월에 매수한 비트코인의 시세가 급락하면서 약 458억원 규모의 평가손실을 인식했고, 이는 원금의 40%에 달하는 규모다.

한편, 국제회계기준(IFRS) 해석위원회는 지난 2019년 가상자산은 화폐도 금융상품도 아니라는 유권해석을 내놨으며, 판매나 중개를 위해 보유하는 경우는 재고자산으로 보고 그 외에는 모두 무형자산에 해당한다고 결론내어 공정가치(시장가격)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하면 그 차액을 분기마다 손실(손상차손)로 반영해야 한다.

2021년 4월 24일 토요일 주간 IT 뉴스 - 클라우드 게임"

개요

요즘 코인열풍이 불고 있다. 그 와중에 중국에서는 거대한 암호화폐 채굴장을 만들어 채굴사업을 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채굴기에 필요한 고성능의 그래픽카드가 이곳에 쓰이고, 이 때문에 고성능 게임을 위해 그래픽카드를 구매하려고하는 게이머들의 슬픈 이야기도 들리기도 한다. 내 주변에서도 이번에 컴퓨터를 새로 구매하는데 그래픽카드가 너무 비싸 망설여진다고 하는 사람이 있었다.


천장 뚫는 그래픽 카드 값에··· 클라우드 게임에 눈 돌리는 게이머

게임 ‘포트나이트’ 이용자 이모(35)씨는 지난 달 그래픽 카드(GPU)를 교체하려다 비싼 가격에 깜짝 놀랐다. 지난해 60만 원 가량이었던 엔비디아의 RTX 3070이 160만 원대까지 올랐기 때문이다. 울며 겨자먹기로 구매하려고 해도 물건이 없어 어려움을 겪던 차에 클라우드 플랫폼 ‘지포스 나우’를 통해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클라우드 게임으로 갈아탔다.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품귀 현상이 장기화되고 가상화폐 채굴 열풍으로 인한 사재기가 벌어지면서 PC의 성능을 좌우하는 그래픽 카드 칩셋(GPU) 가격이 천정부지로 올라가고 있다. 이에 등골이 휜 게임 이용자들이 기기의 성능이 낮아도 얼마든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클라우드 게임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그래픽 카드 칩셋 가격이 매달 평균 20%이상 상승하며 게임 이용자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용량이 큰 대규모 다중접속역할게임(MMORPG)을 끊김 없이 즐기려면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필요한데 가격이 상한선 없이 올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칩셋 공급사인 엔비디아의 RTX3080의 경우 지난 2월에만 해도 155만 원에 구매할 수 있었지만 한 달만인 지난 달 둘째주에는 220만 원으로 41%가 뛰었다. RTX3090은 같은 기간 252만 원에서 300만 원대로 올라갔다.

문제는 이 같은 돈 주고도 GPU를 구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가상화폐 채굴 열풍으로 대규모 GPU 사재기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비트코인 채굴 업체인 라이엇 블록체인은 이달 초 채굴기 4만 2,000대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나와 관계자는 “암호화폐 채굴 열풍으로 최근 그래픽카드의 수요·공급에 불균형이 커졌다”며 “고사양 그래픽 카드를 구하기 힘들다보니 게임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상대적으로 가격 등락폭이 적은 GTX 1660 등 이전 시리즈 칩셋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사양 그래픽 카드를 구하기 힘들어진 유저들은 발 빠르게 클라우드 게임으로 이동하고 있다. 클라우드 게임은 플랫폼 자체에서 PC게임을 이용할 수 있어 기기의 사양이나 종류에 상관 없이 고사양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다. 게임 서버만 마련해 두면 시간·장소·기기에 상관없이 게임을 끊김 없이 즐길 수 있다. 특히 몇 시간씩 걸리는 게임 다운로드나 수시로 진행하는 업데이트 등을 사용자가 직접 하지 않아도 언제든 이용할 수 있다. 실제 클라우드 게임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뉴주는 클라우드 게임 시장이 올해 14억 달러(1조5,634억 원), 오는 2023년 51억4,000만 달러(5조7,413억 원)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그래픽 카드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줘야 하는 부담에 클라우드 게임으로 넘어오는 이용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최근에는 클라우드 게임의 지연(Latency) 문제가 획기적으로 개선되면서 그 흐름이 더 빨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하 생략

지포스나우로 클라우드 게임을 할 수 있다라는 소식은 꽤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 땐 사람들이 얼마나 사용할까? 라고 생각만 했다.

클라우드 컴퓨팅 수업을 들으면서 fat/thin client 관련된 내용에서 서버단에서 모든 기능이 돌아가고 클라이언트에는 그냥 가볍게 볼 수 있는 개념을 듣고, 클라우드 게임도 이런 것이겠구나라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