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108번 통계학

[백준] 2108번 통계학

출처: [백준] 2108번 통계학


문제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1.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2.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3.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4.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자세히 보기

2021년 3월 21일 일요일 IT뉴스

1. 반짝 유행 vs 1700조 성장···요즘 난리난 메타버스 미래는

반짝 유행 vs 1700조 성장···요즘 난리난 메타버스 미래는

전문가들은 메타버스가 여러 기술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사회적 파급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혁명’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예를 들어 게임이 아닌 업무나 생계 활동 등 일상생활이 메타버스 안에서 가능해지는 것이며, 수익모델 역시 게임 아이템 판매→마케팅 솔루션 제공→이커머스·콘서트 개최 등 점점 현실세계와 연계되는 쪽으로 진화하고 있다.

기술 혁신으로 메타버스를 지원하는 가상현실(VR)·AR 등 ‘몰입 기기’의 가격도 내려가고 있고, 몰입 기기의 평균 가격은 1991년 41만 달러(약 4억6000만원)에서 2020년 2만 달러(약 2200만원) 수준으로 감소했고, 10년 뒤에는 1700 달러(약 192만원)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 메타버스는 가공·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가리키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3D) 가상세계’를 일컫는 말이다. 사용자의 몸은 현실에 있지만 메타버스에 접속하면 무엇이든 현실처럼 누릴 수 있는 가상공간이 펼쳐진다. 기존의 단순 가상세계와도 구분된다. 플랫폼 제공자가 판매자, 사용자는 소비자의 역할만 하는 게 아니라 각각 서로 재화와 서비스를 사고팔 수 있다. 여기에 증강현실(AR)·확장현실(XR)·5세대(5G) 통신 같은 기술 발전이 더해져 가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이 좁아지고 있다.

2. 한은 “美 빅테크 반독점규제 더 강화될 것”

한은 “美 빅테크 반독점규제 더 강화될 것”

자세히 보기
[백준] 12738번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3
[백준] 3020번 개똥벌레

[백준] 3020번 개똥벌레

출처: [백준] 3020번 개똥벌레


문제

개똥벌레 한 마리가 장애물(석순과 종유석)로 가득찬 동굴에 들어갔다. 동굴의 길이는 N미터이고, 높이는 H미터이다. (N은 짝수) 첫 번째 장애물은 항상 석순이고, 그 다음에는 종유석과 석순이 번갈아가면서 등장한다.

아래 그림은 길이가 14미터이고 높이가 5미터인 동굴이다. (예제 그림)

img

이 개똥벌레는 장애물을 피하지 않는다. 자신이 지나갈 구간을 정한 다음 일직선으로 지나가면서 만나는 모든 장애물을 파괴한다.

자세히 보기

2021년 3월 20일 토요일 주간 IT 뉴스 - 넷플릭스와 OTT

넷플릭스는…?

한 주간 넷플리스와 관련 된 OTT에 대한 많은 기사들을 보았다. 가장 기억에 남은 기사는 넷플릭스의 비밀번호 공유를 통한 ‘몰래시청’ 단속에 관한 기사였고, 다른 기사들과 관련하여 넷플릭스의 상황과 생각을 내 입맛대로 정리해보았다.

넷플릭스 콘텐츠 무단시청 방지 기능 적용과 평가

14일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최근 콘텐츠 무단시청 방지 기능의 시험 적용에 착수했다. 비밀번호 공유가 의심될 경우 해당 계정 소유자의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로 코드를 전송해 본인 확인을 요청하는 기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본인 확인이 이뤄지지 않으면 접속이 중단된다.

유료 가입자의 계정 비밀번호 하나를 여려 명이 공유해 사용하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이다. 이에 일부 사용자들은 ‘형제도 같이 살지 않으면 가족이 아닌 건가, 이참에 ‘디즈니+ 나 아마존 프라임으로
옮기겠다’는 반응
을 보이며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기사 출처: “이참에 디즈니+로 갈래”…’넷플릭스’에 뿔난 전세계 이용자들

자세히 보기

2021년 3월 19일 금요일 IT뉴스

1. “손가락 하나로 가상환경 제어”…페이스북, 차세대 AR글래스 비전 제시

“손가락 하나로 가상환경 제어”…페이스북, 차세대 AR글래스 비전 제시

18일 페이스북 리얼리티 랩스(FRL) 연구진은 향후 출시될 차세대 AR글래스의 비전을 컨텍스트 인식 인공지능(AI) 기반의 AR 인터페이스와 디바이스(AR글래스), 그리고 운동신경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근전도(EMG) 기반의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연동한 일상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크 쉬롭퍼 페이스북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실제 상용 시점에 대해 “지금은 초기 연구의 피크 단계”라며 “우선 통제된 환경 내에서 개인이 어떤 느낌을 받을 수 있는지 경험을 증명한 다음 이를 수백만명이 사용할 수 있을 만한 상품으로 제조·판매하기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2. 무료서비스로 기반 닦은 플랫폼…”익숙해졌으니 돈 내”

무료서비스로 기반 닦은 플랫폼…”익숙해졌으니 돈 내”

모빌리티 서비스인 카카오T(배차 콜 유료 멤버십 도입)와 T맵(데이터 무료 종료)이 유료화 논란에 휩싸였고, 교육현장에서 쓰이는 화상회의 앱 줌(Zoom)의 유료 정책 도입 움직임등 ICT(정보통신기술) 플랫폼 서비스의 잇단 유료화로 곳곳에서 잡음이 터져나오고 있다.

자세히 보기

2021년 3월 18일 목요일 IT뉴스

1. [단독]카카오T, 렌터카 중개도 한다…현대캐피탈 ‘딜카’인수

[단독]카카오T, 렌터카 중개도 한다…현대캐피탈 ‘딜카’인수

카카오T를 운영하는 카카오모빌리티가 현대캐피탈의 렌터카 중개 서비스 ‘딜카’를 인수하기로 하면서 대리운전·택시 등 카카오T 기존 서비스에 렌터카까지 추가되면 카카오T의 모빌리티(MaaS) 플랫폼 경쟁력이 더 강력해질 전망이다.

딜카는 현재 전국 중소 렌터카 업체 280곳과 제휴관계이며 향후 카카오모빌리티는 제휴를 더 늘리고, 카카오T 플랫폼에 딜카의 렌터카 중개 서비스를 탑재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다

  • MaaS는 사용자가 이동해야할 상황에서 필요한 거의 모든 이동수단을 앱 하나로 해결해주는 서비스다. 보통 모빌리티 서비스의 사업모델은 운전자와 차량 소유자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나뉜다. 남의 차를 남이 운전(택시 호출), 남의 차를 내가 운전(차량공유·렌터카), 내 차를 내가 운전(내비게이션), 내 차를 남이 운전(대리운전)할 때 필요한 서비스다.

2. ‘불안한 1위’ 삼성…갤럭시A 밀리면 답 없다

‘불안한 1위’ 삼성…갤럭시A 밀리면 답 없다

자세히 보기

2021년 3월 17일 수요일 IT뉴스

1. 넷플릭스, 2월 역대 최고…’결제금액 725억원·결제자수 501만명’

넷플릭스, 2월 역대 최고…’결제금액 725억원·결제자수 501만명’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와이즈리테일은 올해 2월 넷플릭스의 결제 금액과 유료 결제자 수가 각각 725억원, 501만명으로 역대 최대치로 추정된다고 17일 발표했다.

지난 1년간 결제자가 전연령층으로 확대되어 20대가 31.9%(160만 명), 30대가 27.4%(138만 명), 40대가 21.4%(108만 명), 50대 이상이 19.1%(95만 명)로 변화했다.

2. 애플 ‘아이폰’, 지난해 화웨이 꺾고 2위…1위는 삼성

애플 ‘아이폰’, 지난해 화웨이 꺾고 2위…1위는 삼성

지난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미국의 제재로 스마트폰 사업이 축소된 화웨이가 2위였던 시장 점유율이 떨어져 3위였던 애플과 순위가 바뀌었고, 삼성전자는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점유율이 19%로 전년(20%)보다 떨어지면서 애플과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자세히 보기

2021년 3월 16일 화요일 IT뉴스

1. 지난해 데이터산업 규모 19.3조…데이터경제 가속화

지난해 데이터산업 규모 19.3조…데이터경제 가속화

지난해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14.3% 증가한 19조2736억원으로 예상됐고, 대분류로 보면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이 9조3752억원으로 가장 큰 매출 비중(48.6%)을 차지했으며 데이터 구축·컨설팅 서비스업이 7조44361억원(38.6%), 데이터 처리·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이 2조4623억원(12.8%)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5년간 현재 직무별 인력과 추가로 필요한 인력의 차이를 나타낸 인력 부족률은 데이터 과학자(31.4%)가 가장 높고 데이터 분석가·데이터 개발자(14.5%), 데이터 컨설턴트(10.8%) 순인 것으로 분석됐다.

  •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판매, 정보제공 서비스, 소셜데이터 분석정보 제공 등…
  • 데이터 구축 컨설팅업: DB설계/구축, 데이터 이행, DB성능 개선 컨설팅, 데이터 분석/활용 컨설팅 등…
  •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 공급업(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수집,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 분석(정형/비정형, 실시간 등 데이터 분석), 데이터 관리, 데이터 보안, 등..

2. SK텔레콤, AI·클라우드 활용 소상공인 지원

자세히 보기

2021년 3월 15일 월요일 IT뉴스

1. 눈동자 자세히 보면 딥페이크 가려낼 수 있다

눈동자 자세히 보면 딥페이크 가려낼 수 있다

미국 뉴욕주립대학 연구진들은 최근 딥페이크 이미지를 가려낼 수 있는 눈동자의 반사된 이미지가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공개했다.
과학자들은 “GAN으로 합성된 얼굴은 두 눈의 각막에서 일관성 없는 반사 빛이 노출될 수 있다”고 밝혔다.

  • GAN(Generative Adversary Network): 적대적 생성 신경망

2. OTT 대세 증명한 넷플릿스…국내 월 사용자 천만명 넘어서

OTT 대세 증명한 넷플릿스…국내 월 사용자 천만명 넘어서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