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하드웨어 가속을 적극 활용하자 (translate3d)

[CSS] 하드웨어 가속을 적극 활용하자 (translate3d)

이채현

하드웨어 가속은 왜 필요할까?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인터렉션은 렌더링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런 부분을 CPU가 아닌 GPU가 계산하도록 만들면 렌더링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려면 어떤 스타일을 사용해야 할까?*

대표적으로 animation(keyframes), will-change 속성이 있지만 두 속성은 사용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다양한 케이스에 대응하기 쉽고 초기 렌더링에도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는 transform: translate3d 스타일을 사용하면 된다. will-change, translate3d속성은 브라우저에게 **"얘는 3D 요소니까 하드웨어 가속을 써야 해!"**라고 알려주며 대상이 되는 요소를 자체 레이어로 승격시키고 GPU 메모리에 할당이 되어 하드웨어가 계산을 하게 된다.

자세히 보기
[React] React의 setState는 비동기로 동작한다

[React] React의 setState는 비동기로 동작한다

이채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function App() {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0);

const handleClick = () => {
setState(state + 1);
setState(state + 1);
setState(state + 1);
};

return (
<div className="App">
<p>{state}</p>
<button
onClick={() => {
handleClick();
}}
>
+3
</button>
</div>
);
}

export default App;

위 코드의 결과는 버튼을 눌러도 1씩 증가한다.

이유는?

결국, 위 코드는 setState 는 동일한 key 값에 대하여 이전의 값을 계속해서 덮어써서, 마지막 명령어만 수행되는 셈이다.

자세히 보기
[Fastlane] Fastlane을 통해 빌드를 자동화하자 1편

[Fastlane] Fastlane을 통해 빌드를 자동화하자 1편

이채현

노션으로 보기

What is the Fastlane?

  • ruby 코드로 만들어진 앱 배포 자동화 툴
  • 커맨드라인으로 빌드 할 수 있음
  • CI 시스템과의 통합 용이
  • 여러 구성원이 App Store에 앱을 배포하거나 단일 장치에 앱을 설치할 때 별도의 코드 서명 ID가 필요하지만, fastlane의 match를 사용하여 하나의 중앙저장소를 만들 수 있음
    • 기존 배포 인증서는 팀원 각각 만들어야 하고, 만료 기한이 있었던 것과 달리 깃 저장소에 저장된 배포 인증서로 사용 가능
    • 단, 이중인증 필요하다는 한계 존재

Run Fastlane

01. setting

fastlane 설치 및 세팅

자세히 보기
[JS] 클로저 간단 정리

[JS] 클로저 간단 정리

이채현

  • 클로저는 먼저 자바스크립트 변수의 유효범위를 이해해야한다.
  • 클로저를 명확히 무엇이다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function returnX(){
return 'x';
}

const x = returnX()
console.log(typeof x) // string

----------------------------------------------

function returnX() {
let x = 'x';
return function returnY() {
return x + 'y';
}
}

const x = returnX()
console.log(typeof x) // function => return 값이 함수 덩어리이기 때문에

const x = returnX()();
console.log(typeof x) // string
function sum(num1) {
return function (num2) {
return num1 + num2;
};
}

const sum5 = sum(5); // 숫자5가 계속 바인딩되어 있는 상태
console.log(sum5(10)); // 15

은닉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function privateData() {
let temp = 'a';
return temp;
}

const result = privateData(); // privateData를 실행시켜야만 temp값을 알 수 있다.
console.log(result);

-------------------------------------

function privateData() {
let temp = 'a';
return {
value: () => {
return temp;
},
changeValue: (newVal) => {
temp = newVal;
}
};
}

const private = privateData();
console.log(private.value()); // a
private.changeValue('b');
console.log(private.value()); // b

활용사례

자세히 보기
[JS] Class 간단 정리

[JS] Class 간단 정리

이채현

클래스

  • class 선언은 프로토타입 기반 상속을 사용
  • 정의: 함수 정의방법과 동일하게 가능,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을 class표현식에서 사용 가능
1
2
3
4
5
6
7
8
9
10
11
function Person(name,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class Person {
constructor(name,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

인스턴스

  • 싱글리터럴로 만든 객체도 각자의 인스턴스를 뜻함..객체이지만 인스턴스
  • 생성자 함수와 클래스를 활용하여…new 연산자와 더불어 만듬
자세히 보기
[JS] 프로토타입 간단 정리

[JS] 프로토타입 간단 정리

이채현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의 언어다.

constructor (생성자)

1
2
3
4
5
6
7
8
9
10
function Person(name,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class Paerson {
constructor() {

}
}

생성자함수는 프로토타입이 모든 자바스크립트에 들어있듯이 생성자도 모든 자바스크립트에서 확인가능하다.

1
2
3
4
5
const one = new Person('one', 1);
const two = new Person('two', 2);

console.log(one.constructor); // [Function: Person]
console.log(two.constructor.name); // Person
자세히 보기
[JS] this 간단 정리

[JS] this 간단 정리

이채현

JavaScript에서 함수의 this 키워드는 다른 언어와 조금 다르게 동작한다.

엄격모드와 비엄격 모드에서도 일부 차이가 있다.

  • this는 scope와 관계가 있다.
  • 객체에도 영향을 준다.
  • this가 어디에 묶여있냐를 아는 것이 코드를 작성하는 시점, 동작하는 시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함수를 어떻게 호출했는지 상관하지 않고 this값을 설정할 수 있는 bind메서드를 도입했고, ES2015는 스스로의 this 바인딩을 제공하지 않는 화살표 함수 를 추가했습니다.)

암시적 바인딩

자세히 보기
[JS] 스코프 간단 정리

[JS] 스코프 간단 정리

이채현

전역 스코프 (Global)

  • 그냥 가장 바깥쪽
  •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재정의가 가능하다 ← 큰 문제
    • 그 결과,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때 내가 만든 변수들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워짐 → 팀 단위로 개발할 때 최악

지역 스코프

함수 스코프

블록 스코프

자세히 보기
[JS] 자료 다루기
[JS] Object 객체

[JS] Object 객체

이채현

객체 생성

일반적으로 생성 할 수 있는 객체

싱글 리터럴 (Literal) 객체

1
2
3
4
const object = {
property: 'value',
method: function () {},
}

생성자 함수 객체 // PascalCase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