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데이터베이스 격리수준: Database Isolation Level
[Spring Boot] Ajax 사용하는 이유

[Spring Boot] Ajax 사용하는 이유

회원가입 시 Ajax를 사용하는 이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HTML이 아닌 Data(JSON)로 받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브라우저)는 서버에 요청을 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화면을 요청하면, 서버가 .html로 응답하여 브라우저는 그 html 파일을 읽는다.

메인화면에서 회원가입 수행을 요청하면, 서버는 DB에 회원가입을 수행하고 완료하면 다시 메인화면으로 돌아올 것이고, 결국 html로 응답해줘야하는데…

그 클라이언트가 꼭 브라우저인 것은 아니다. 앱일 경우, html를 반환해주면 이해하지 못한다.

자세히 보기
[Spring Boot] JAVA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Spring Boot] JAVA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자바의 Overloading & Overriding

자바에서 다형성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메서드를 오버로딩, 오버라이딩을 할 수 있다.

  • 오버로딩(Overloading): 같은 이름의 메서드 여러개를 가지면서 매개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다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 리턴값만을 다르게 갖게 작성할 수 없다.

=> 오버로딩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메서드를 정의하는 것

  • 오버라이딩(Overriding):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해서 사용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상위클래스의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하는 것이다.
    • 메서드의 이름, 파라미터의 갯수, 타입이 동일해야 하며, 주로 상위 클래스의 동작을 상속받은 하위 클래스에서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 오버라이딩은 상속 받은 메서드의 내용만 변경하는 것

자세히 보기
[Spring Boot] 데이터베이스 Update 하는 법

[Spring Boot] 데이터베이스 Update 하는 법

데이터베이스 Update하기

웹 브라우저에서 회원 수정을 하는 경우를 생각하며,

@PutMapping을 이용해서 주소를 만들어줬다. 이때 적은 주소는 @GetMapping의 주소와 동일한데, 스프링부트에서는 알아서 Get, Put을 구별해준다.

첫 번째 방법 (Save함수 사용)

주소에서 id를 받아온다. 이 id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된 id값을 불러오기 위함이다.

자세히 보기
[Spring Boot] 데이터베이스 Select 하는 법과 에러체크

[Spring Boot] 데이터베이스 Select 하는 법과 에러체크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Select할 때 잘못 된 인수가 들어가면 어떻게 해야할까


데이터베이스 Select하기

User table을 select하기에 앞서,

UserRepository라는 인터페이스 파일을 새로 만들고, 그 UserRepository는 JpaRepository를 상속하고 있다.

1
2
3
// 자동으로 bean등록이 된다. --> @Repository 생략가능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Integer> {
}

그리고 select 기능을 넣어줄 클래스파일에 DI를 해주고,

자세히 보기
[Spring Boot] JPA 즉시 로딩과 지연 로딩(FetchType.EAGER or LAZY)

[Spring Boot] JPA 즉시 로딩과 지연 로딩(FetchType.EAGER or LAZY)

블로그 프로젝트 진행 중 FetchType.LAZY와 EAGER이란 것이 나왔다.

하나의 게시물을 눌렀을 때, 화면에 필수적으로 나타나야 하는 것은

  • 작성자
  • 제목
  • 내용

위 3가지가 있었고 있었고, 댓글은 바로 보여지는 경우와 접혀있다가 눌렀을 때 보이는 경우로 나눌 수 있었다.


JPA의 기본 패치 전략

- @ManyToOne, @OneToOne: 즉시로딩(FetchType.EAGER)

자세히 보기
[Spring Boot] IntelliJ에서 Live Reload 설정하기

[Spring Boot] IntelliJ에서 Live Reload 설정하기

Live Reload

  • Live Reload라는 기능은 Spring Boot로 개발하면서 자바 소스를 수정하고 저장하면 자동으로 재시작을 해주는 기능이다.

1. spring-boot-devtools 의존성 추가하기

1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2. application.yml에 추가하기

1
2
3
4
5
6
7
8
9
spring:
devtools:
livereload: # view단이 바뀌었을 때 자동으로 리로드 설정
enabled: true
restart: # 컨트롤러,모델단(classpath에 있는 파일)이 바뀌었을 때 프로젝트 재시작 설정
enabled: false

freemarker:
cache: false

3. Intelli J 설정 수정하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