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 배열이 주어졌을 때 (i, j) 위치부터 (x, y) 위치까지에 저장되어 있는 수들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배열의 (i, j) 위치는 i행 j열을 나타낸다.
입력
첫째 줄에 배열의 크기 N, M(1 ≤ N, M ≤ 3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배열이 주어진다. 배열에 포함되어 있는 수는 절댓값이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그 다음 줄에는 합을 구할 부분의 개수 K(1 ≤ K ≤ 10,000)가 주어진다. 다음 K개의 줄에는 네 개의 정수로 i, j, x, y가 주어진다(i ≤ x, j ≤ y).
N, M = map(int, input().split()) matrix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range(N)] K = int(input())
dp = [[0] * (M + 1) for _ inrange(N + 1)] for i inrange(1, N + 1): for j inrange(1, M + 1): dp[i][j] = matrix[i - 1][j - 1] + dp[i][j - 1] + dp[i - 1][j] - dp[i - 1][j - 1]
for _ inrange(K): i, j, x, y = map(int, input().split()) print(dp[x][y] - dp[x][j - 1] - dp[i - 1][y] + dp[i - 1][j - 1])
소스코드 (시간초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matrix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range(N)] K = int(input())
for _ inrange(K): i, j, x, y = map(int, input().split()) arr_sum = 0 for a inrange(i, x + 1): for b inrange(j, y + 1): arr_sum += matrix[a - 1][b - 1] print(arr_sum)
두 숫자 R1과 R2가 있을 때, 두 수의 평균 S는 (R1+R2)/2와 같다. 상근이는 정인이 생일 선물로 두 숫자 R1과 R2를 주려고 한다. 생일 파티에서 상근이는 정인이에게 이 두 숫자를 말해주고, 정인이는 이 숫자를 받아 적는다. 그리고 나서 기쁜 마음으로 1년동안 이 숫자를 외우면서 산다.
상근이는 R1과 R2를 엄청난 고민 끝에 정했다. 작년에는 R1과 R2를 까먹어서 아무 숫자나 정해서 주었기 때문에, 올해는 까먹지 않기 위해서 평균 S도 같이 기억하려고 한다.
오늘은 정인이 생일이다. 5분 후에 상근이는 생일 선물로 두 숫자 R1과 R2를 말해주어야 하지만, 안타깝게도 R2를 까먹고 말았다. 하지만 R1과 S는 기억하고 있다!
상근이를 도와 R2가 몇 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R1과 S가 주어진다. 두 수는 -1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거나 같다.
서울시는 6월 1일부터 교통 혼잡을 막기 위해서 자동차 10부제를 시행한다. 자동차 10부제는 자동차 번호의 일의 자리 숫자와 날짜의 일의 자리 숫자가 일치하면 해당 자동차의 운행을 금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번호의 일의 자리 숫자가 7이면 7일, 17일, 27일에 운행하지 못한다. 또한, 자동차 번호의 일의 자리 숫자가 0이면 10일, 20일, 30일에 운행하지 못한다.
여러분들은 일일 경찰관이 되어 10부제를 위반하는 자동차의 대수를 세는 봉사활동을 하려고 한다. 날짜의 일의 자리 숫자가 주어지고 5대의 자동차 번호의 일의 자리 숫자가 주어졌을 때 위반하는 자동차의 대수를 출력하면 된다.
입력
첫 줄에는 날짜의 일의 자리 숫자가 주어지고 두 번째 줄에는 5대의 자동차 번호의 일의 자리 숫자가 주어진다. 날짜와 자동차의 일의 자리 숫자는 모두 0에서 9까지의 정수 중 하나이다.
출력
주어진 날짜와 자동차의 일의 자리 숫자를 보고 10부제를 위반하는 차량의 대수를 출력한다.
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담긴 배열 numbers, 타겟 넘버 tar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숫자를 적절히 더하고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드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주어지는 숫자의 개수는 2개 이상 20개 이하입니다.
각 숫자는 1 이상 5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타겟 넘버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numbers
target
return
[1, 1, 1, 1, 1]
3
5
풀이
-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solution(numbers, target): answer = 0 queue = deque() queue.append((0, 0)) while queue: idx, total = queue.popleft()
if idx == len(numbers): if total == target: answer += 1 else: num = numbers[idx] queue.append((idx + 1, total + num)) queue.append((idx + 1, total - num)) return answer
defsolution(operations): answer = [] heapq.heapify(answer) for comm in operations: com, num = comm.split() if com == 'I': heapq.heappush(answer, int(num)) elif com == 'D': ifnot answer: continue else: if num == '1': answer.pop(answer.index(heapq.nlargest(1, answer)[0])) elif num == '-1': heapq.heappop(answer)
계속되는 폭우로 일부 지역이 물에 잠겼습니다. 물에 잠기지 않은 지역을 통해 학교를 가려고 합니다.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은 m x n 크기의 격자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m = 4, n = 3 인 경우입니다.
가장 왼쪽 위, 즉 집이 있는 곳의 좌표는 (1, 1)로 나타내고 가장 오른쪽 아래, 즉 학교가 있는 곳의 좌표는 (m, n)으로 나타냅니다.
격자의 크기 m, n과 물이 잠긴 지역의 좌표를 담은 2차원 배열 puddles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오른쪽과 아래쪽으로만 움직여 집에서 학교까지 갈 수 있는 최단경로의 개수를 1,000,000,007로 나눈 나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격자의 크기 m, n은 1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m과 n이 모두 1인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물에 잠긴 지역은 0개 이상 10개 이하입니다.
집과 학교가 물에 잠긴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m
n
puddles
return
4
3
[[2, 2]]
4
입출력 예 1
풀이
-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defsolution(m, n, puddles): matrix = [[0for _ inrange(m + 1)] for _ inrange(n + 1)] matrix[1][1] = 1
for i inrange(1, n + 1): for j inrange(1, m + 1): if i == 1and j == 1: continue if [j, i] in puddles: continue else: matrix[i][j] = matrix[i - 1][j] + matrix[i][j - 1] return matrix[n][m] % 1000000007
''' collection 라이브러리 사용 일반 dict는 빼기 불가, counter를 사용하면 key, value로 되고...카운터 객체이므로 빼기 가능 마지막 리스트로 변환 후 0번째 출력--> 탈락자는 한명이다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def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participant.sort() completion.sort() for p, c inzip(participant, completion): if p != c: return p return participant[-1]
시작 -> 실행 -> cmd를 쳐보자. 검정 화면이 눈에 보인다. 여기서 dir이라고 치면 그 디렉토리에 있는 서브디렉토리와 파일이 모두 나온다. 이때 원하는 파일을 찾으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dir *.exe라고 치면 확장자가 exe인 파일이 다 나온다. “dir 패턴”과 같이 치면 그 패턴에 맞는 파일만 검색 결과로 나온다. 예를 들어, dir a?b.exe라고 검색하면 파일명의 첫 번째 글자가 a이고, 세 번째 글자가 b이고, 확장자가 exe인 것이 모두 나온다. 이때 두 번째 문자는 아무거나 나와도 된다. 예를 들어, acb.exe, aab.exe, apb.exe가 나온다.
이 문제는 검색 결과가 먼저 주어졌을 때, 패턴으로 뭘 쳐야 그 결과가 나오는지를 출력하는 문제이다. 패턴에는 알파벳과 “.” 그리고 “?”만 넣을 수 있다. 가능하면 ?을 적게 써야 한다. 그 디렉토리에는 검색 결과에 나온 파일만 있다고 가정하고, 파일 이름의 길이는 모두 같다.
입력
첫째 줄에 파일 이름의 개수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파일 이름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파일 이름의 길이는 모두 같고 길이는 최대 50이다. 파일이름은 알파벳과 “.” 그리고 “?”로만 이루어져 있다.